1. switch문

switch  (조건식) {
    case 값1  : 

break;

    case 값2  : 

break;

    default : 

}

 default문은 if문의 else블럭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default문의 위치는 어디라도 상관없으나 보통 마지막에 놓기 때문에 break문을 쓰지 않아도 된다. 

  조건식에 맞는 값을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찾아가며, 조건식에 맞는 case가 시작점이 되는 것이다. break문이 없으면 계속 아래 case의 명령어를 수행한다. 

 switch문 조건식의 결과는 정수 또는 문자열 또는 정수 상수만 가능하며,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2. for문

for(초기화; 조건식; 증감식) {
    수행될 문장

}

 제일먼저 1)초기화가 수행되고, 그 다음 2)조건식이 참인 동안 3)수행될 문장 4)증감식의 순서로 계속 반복된다. 따라서 초기화 후, 조건식이 참이어야 실행이 시작된다.


3. while문 

 조건식이 참이면 블럭{}내의 문장을 수행하고 다시 조건식으로 돌아간다. 즉, 블럭 내의 문장을 모두 수행하는 동안은 조건식의 참거짓을 판단하지 않는다. 


4. do-while문

do {
} while (조건식);   <-- 끝에 ;를 잊지 않도록 주의 

 do-while문은 while문의 변형으로 기본적인 구조는 while문과 같으나 조건식과 블럭{}의 순서를 바꿔놓은 것이다. 그래서 while문과 반대로 블럭{}을 먼저 수행한 후에 조건식을 평가한다. 즉, 최소한 한번은 블럭이 수행된다.


* break문 

 switch문에서 처럼 반복문에서도 break문을 사용할 수 있는데, break문은 자신이 포함된 가장 가까운 반복문을 벗어난다. 주로 if문과 함께 사용되어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반복문을 벗어나도록 한다. 


* continue문

 continue문은 반복문 내에서만 사용될 수 있으며, 반복이 진행되는 도중에  continue문을 만나면 반복문의 끝으로 이동하여 다음 반복으로 넘어간다. for문의 경우 증감식으로 이동하며, while문과 do-while문의 경우 조건식으로 이동한다. 전체 반복 중에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를 제외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WEB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 AND 논리연산자  (0) 2017.12.27
[구글링] stack & queue  (0) 2017.12.20
[NOTE] Field, method in static method  (0) 2017.12.19
[생활코딩]제네릭  (0) 2017.12.08
[자바의 정석] Collection Framework  (0) 2017.12.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