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 리스너는 클라이언트에서 네트워크를 이요하여 오라클 서버로 연결하기 위한 오라클 네트워크 관리자이다. 오라 클 서버에서 리스너를 시작시켜줘야 클라이언트들이 접속할 수 있다.
1) 리스너 구동 확인
리스너 작동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 명령어로 확인한다. TNS:no listener 에러가 안나고 성공하는지 확인. Clondb 이름은 tnsnames.ora 파일에 있는 이름이다.
## 서버에서 확인하는 방법
> tnsping testdb
2) 리스너 구동하기
## 서버에서 오라클 유저로 실행
> lsnrctl start (리스너 구동하기)
> lsnrctl stop (리스너 중단하기)
> lsnrctl reload (listner.ora 정보를 새로 받아오지 않고 기존에 로드했던 메모리를 이용해서 구동한다.)
3) tnsping 사용하여 외부에서 리스너 동작 확인하기
## 클라이언트에서 확인하는 방법
> tnsping TNS명
(tnsname.ora 파일에 정의되어 있는 tns명을 사용한다. 해당 지정된 포트에 리슨어가 떠 있지 않을 경우 "TNS-12541: TNS:리스너가 없습니다." 와 같은 메시지를 볼 수 있다.)
4) telnet 사용하여 외부에서 리스너 동작 확인하기
> telnet IP port번호
이 때 방화벽은 뚫려 있으나 해당 포트에 리스너가 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하지 못했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바로 나오고 방화벽으로 막혀 있다면 20여초 가량 지체되다가 연결하지 못 했다는 메시지가 나오게 된다.
출처: https://pangate.com/138 [호주 멜번스토리]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커넥션 체크 방법 (0) | 2021.01.08 |
---|